동해물이 다 마른다면 독도는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 흔히 독도는 울릉도의 부속섬으로 불린다. 그 크기도 울릉도(73㎢)가 독도(0.187㎢)에 비해 무려 400배나 넓다.
수중비경 |
이같은 사실은 한국해양연구소 한상준 박사팀이 1998년 지질학회지에 발표한 <동해 울릉분지 북동부(울릉도와 독도 주변) 해역의 분지구조>논문에서 밝혀졌다.
한상준 박사팀은 종합연구선 온누리호에 장착된 정밀해저지형 탐사장비인 다중 빔과 정밀음향측심기를 이용해 울릉도와 독도 주변 해역 총 2만1천500㎢에 대해 마치 항공사진 찍듯이 2차원 및 3차원 정밀 해지지형도를 작성하는데 성공했다.
그 결과 울릉도는 해저기반의 너비가 좌우로 25km이지만 독도는 특이하게도 쌍둥이 화산폭발에 의해 만들어진 두개의 바위 덩어리로 이뤄져 해저기반의 너비가 50km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독도 주변 해저지형도 (한국해양연구원) |
조사를 통해 독도에는 서풍이나 북서풍이 일정하게 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바람을 등지면 돛단배를 타고도 본토나 울릉도에서 독도로 항해하는 일이 어렵지 않다는 얘기다. 이를 통해 선조들의 독도 항해도 어렵지 않게 이뤄졌으리라 짐작할 수 있다.

'이상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년 만에 한번 피는 가시연꽃 (0) | 2008.12.25 |
---|---|
2008년 최악의 자연재해 (0) | 2008.12.22 |
겨울에만 스노우보드 탄다? 이제 NO! (0) | 2008.12.21 |
[스크랩] 손오공은 몇 살일까? (0) | 2008.10.24 |
서울 광화문 상공에 UFO (0) | 2008.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