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표정한 산
직선과 사선으로 이루어진
태백산 자락 돌아서는 아우라지강
비탈 갈아 심은 감자, 옥수수
산은 들판이라네
강마을
정선아리랑 따라 흐르고
깊은 정 고향으로 흐르네
松川(송천) 은 발왕산에서 시작하여 여기로
骨只川(골지천)이 九美亭(구미정) 그윽한 승정담아
이곳에 두 줄기 합하여 아우라지강
합해지는 인심이 여기 여량이라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 정선읍내에서 북동쪽으로 십킬로미터쯤 가면 여량리가 있다.
이 여량리의 여량역은 증산에서 구절리를 연결하는 정선선이 지나가는 곳이다.
여량이라는 지명은 양식이 남아돈다는 뜻으로, 강원도 산골에서는 좀처럼 어울리지 않을성 싶은 이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여량은 땅이 비옥하고 상대적으로 넓은 평지를 가지고 있다.
골지천의 맑은 물과 그로인하여 생긴 넓은 들로 여량은 정선땅에서 하늘을 가장 넓게 볼 수 있는 평지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 여량에 아우라지가 있다.
* 아우라지는 두갈래의 물이 한데모여 어울어지는 나루터라는 뜻으로 골지천과 송천이 합쳐지는 이곳은 예전 남한간 일천리 물길을 따라 태백과 오대산에서 벌목한 목재로 만든 뗏목이 떠나는 곳이었다. 이 정선 아우라지에는 그 옛향수를 달래기라도 하듯이 아직 나룻배가 강물위에 메어놓은 줄을 당기면서 이쪽과 저쪽을 연결해 주고 있다.
이 아우라지는 정선 아리랑을 탄생시킨 곳이며 많은 전설을 간직한 곳이다.
북쪽 구절리에서 흘러오는 송천(구절천)과 남동쪽의 임계에서 흘러오는 골지천이 만나 조양강을 이루는 지점에 처녀상 하나가 아우라지를 쳐다보고 있다.
“아우라지 뱃사공아 배좀 건네주게
싸리골 올동백이 다 떨어진다.
떨어진 동백은 낙엽에나 쌓이지
잠시 잠깐 님 그리워 나는 못살겠네”
라는 노랫말이 세겨져 있는 이 처녀상은 초례를 치른 여량의 한 처녀가 강은 건너 시집을 가던날 하객과 친척들이 많은 짐을 나룻배에 싣고 강을 건너다 배가 뒤집혀 많은 사람들이 물에 빠져 죽은 뒤로 해마다 두세명씩 이 물에서 목숨을 잃는 사고가 계속 되었다. 그래서 팔십칠년에 아랑비와 처녀상을 세웠는데 그 뒤로부터는 신기하게도 그런 불상사가 없어졌다고 한다.
'기행시 - 어디로 가는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예찬(金剛禮讚) (0) | 2008.08.08 |
---|---|
깨어난 鐵馬 (0) | 2008.08.08 |
상림 (0) | 2008.08.07 |
都彌(도미)부인 (0) | 2008.08.05 |
촉석루 - 2005년 1월 월간 시사문단 발표 (0) | 2008.08.05 |